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SH공사의 다가구 및 원룸을 매입하여 저렴하게 임대하는 기존주택매입임대주택 신청방법 및 내용에 대해 알아보기 다가구 및 원룸을 매입하여 저소득층에게 저렴하게 임대하는 기존주택 매입임대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저렴하게 임대해주는 기존주택 매입임대주택이란? - 도심에서 생활하는 저소득층이 현 생활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다가구, 원룸 등 기존주택을 매입하여 개ㆍ보수한 후 저렴하게 임대합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(2년 단위로 9회(최장 20년 거주)까지 재계약 가능, 다만 재계약 시 만 65세 이상 고령자인 경우 재계약 횟수 제한 없음.) 임대조건 : 보증금+임대료(시중 시세의 30%) 저렴하게 임대해주는 기존주택 매입임대주택의 특징은? - 시중보다 훨씬 저렴한 임대료 : 다가구형의 경우 평균 임대보증금이 25,050,000원, 평균 임대료가 262,000원 : 원룸형의 경우 평균 임대보증금이 .. 2023. 8. 8.
서울주택도시공사의 1~2인 가구를 위한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원룸형의 주거 도시형생활주택에 대해 알아보기 늘어가는 1~2인 가구 및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한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맞춤형 주거 도시형 생활주택이란? - 늘어나는 1~2인 가구와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시행 중인 도시형 생활주택은 단지형 연립주택, 단지형 다세대주택, 원룸형 3종류가 있습니다. ‘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’에 따라 30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 규모로 구성됩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(2년 단위로 계약 갱신 가능) 공급규모 : 전용면적 19㎡ ~ 33㎡ (소형 평형 위주) 임대조건 : 보증금+임대료(주변 전세 시세 이하) 맞춤형 주거 도시형 생활주택의 특징은? - 단지형 연립주택 VS 단지형 다세대주택 VS 원룸형 : 단지형 연립주택(연면적 660㎡ 초과)과 다세대주택(연면적 660㎡ 이하)는 세대당 .. 2023. 8. 5.
SH공사에서 재개발 지역을 임대하는 재개발임대주택의 모집공고와 임주자격 및 비율에 대해 알아보기 재개발 지역 아파트를 매입해 입주 후 임대자격 유지 시 10년 동안 거주 가능한 재개발임대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재개발임대주택이란? - 재개발 철거세입자에게 재개발 철거세입자에게 우선 공급하고 남은 공가를 저소득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공급하는 임대주택입니다. 입주 후 입주자격 유지 시 10년 동안 거주할 수 있습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(2년마다 재계약 가능, 최장 10년) 공급규모 : 전용면적 30㎡ 이하, 30㎡ 초과~40㎡ 이하, 40㎡ 초과~84㎡ 이하 전용면적별 평균 임대보증금 및 월 임대료 (19.12.31기준) 39㎡이하 : 임대보증금 14,535,648원, 월 임대료 149,795원 49㎡이하 : 임대보증금 34,732,561원, 월 임대료 196,850원 84㎡이하 : 임대.. 2023. 8. 4.
2030세대의 국민에게 임대하여 주거불안을 해소하는 행복주택 신청 조건 및 보증금 입주자격에 대해 알아보기 2030세대의 젊은 계층에게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주거불안을 해소해드리는 행복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2030세대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는 행복주택이란? - 대학생, 사회초년생, 신혼부부 등 젊은 계층이 거주비와 사회적 비용 절감으로 거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직장(학교)와 집 간의 거리가 가까운 부지를 활용해 저렴하게 공급합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 / [2년마다 재계약, 대학생ㆍ사회초년생 계층ㆍ신혼부부 계층ㆍ산업단지 근로자 6년(단, 취업준비생은4년), 고령자ㆍ주거급여수급자ㆍ기존 거주자20년] 공급규모 : 전용면적 30㎡이하~ 45㎡ 이하 임대조건 : 보증금+임대료(시중 시세의 60%~80% 수준) 2030세대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는 행복주택의 특징은? - 젊은층을 위.. 2023. 8. 3.
내 집 마련의 시작 3가지 평수의 국민임대주택 거주기간과 입주자격 그리고 소득기준 및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집 없는 서민을 위한 국민임대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내 집 마련의 시작 국민임대주택이란? -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집 없는 서민들에게 정부 재정과 국민주택기금 지원으로 주택을 지어 저렴하게 임대합니다. 생활편익시설이 잘 갖추어진 곳에서 최장 30년까지 내 집처럼 편안하게 거주할 수 있습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(2년마다 재계약 가능, 최장 30년) 공급규모 : 주로 전용면적 39㎡, 49㎡, 59㎡ 공급 임대조건 : 보증금+임대료(시중 시세의 60%~80% 수준) 내 집 마련의 시작 국민임대주택의 특징은? -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 : 평균 보증금이 3,700만원, 임대료는 28만원으로 시중의 전세 시세에 비해 60~80% 수준으로 저렴하게 공급합니다. - 소득과 .. 2023. 7. 28.
사회보호계층을 위한 영구임대주택의 입주자격과 조건 및 보증금과 임대료 그리고 알맞는 평수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SH공사 , LH공사에서 제공하는 사회보호계층을 위한 저렴한 임대료 영구임대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영구임대주택이란? - 보증금300만원, 월 임대료 10만원 이하의 저렴한 임대료로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임대주택입니다. 주로 소형 아파트로 건설되어 사회적 약자들의 주거안정을 도모합니다. 재계약 시 자격만 유지한다면 최장 50년까지 임대할 수 있습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(2년마다 재계약 가능, 최장 50년) 공급규모 : 전용면적 40㎡ 이하 임대조건 : 보증금+임대료(시중 시세의 30% 수준) 영구임대주택의 특징은? - 최장 50년까지 거주 가능 : 공공임대 중 임대기간이 50년으로 가장 깁니다. - 가장 저렴한 임대료 : 평균 보증금은 190만원(생계, 의료급여 수급자 기준), 평균 임.. 2023. 7. 27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