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2030세대의 국민에게 임대하여 주거불안을 해소하는 행복주택 신청 조건 및 보증금 입주자격에 대해 알아보기 2030세대의 젊은 계층에게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주거불안을 해소해드리는 행복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2030세대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는 행복주택이란? - 대학생, 사회초년생, 신혼부부 등 젊은 계층이 거주비와 사회적 비용 절감으로 거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직장(학교)와 집 간의 거리가 가까운 부지를 활용해 저렴하게 공급합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 / [2년마다 재계약, 대학생ㆍ사회초년생 계층ㆍ신혼부부 계층ㆍ산업단지 근로자 6년(단, 취업준비생은4년), 고령자ㆍ주거급여수급자ㆍ기존 거주자20년] 공급규모 : 전용면적 30㎡이하~ 45㎡ 이하 임대조건 : 보증금+임대료(시중 시세의 60%~80% 수준) 2030세대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는 행복주택의 특징은? - 젊은층을 위.. 2023. 8. 3.
내 집 마련의 시작 3가지 평수의 국민임대주택 거주기간과 입주자격 그리고 소득기준 및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집 없는 서민을 위한 국민임대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내 집 마련의 시작 국민임대주택이란? -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집 없는 서민들에게 정부 재정과 국민주택기금 지원으로 주택을 지어 저렴하게 임대합니다. 생활편익시설이 잘 갖추어진 곳에서 최장 30년까지 내 집처럼 편안하게 거주할 수 있습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(2년마다 재계약 가능, 최장 30년) 공급규모 : 주로 전용면적 39㎡, 49㎡, 59㎡ 공급 임대조건 : 보증금+임대료(시중 시세의 60%~80% 수준) 내 집 마련의 시작 국민임대주택의 특징은? -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 : 평균 보증금이 3,700만원, 임대료는 28만원으로 시중의 전세 시세에 비해 60~80% 수준으로 저렴하게 공급합니다. - 소득과 .. 2023. 7. 28.
사회보호계층을 위한 영구임대주택의 입주자격과 조건 및 보증금과 임대료 그리고 알맞는 평수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SH공사 , LH공사에서 제공하는 사회보호계층을 위한 저렴한 임대료 영구임대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영구임대주택이란? - 보증금300만원, 월 임대료 10만원 이하의 저렴한 임대료로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임대주택입니다. 주로 소형 아파트로 건설되어 사회적 약자들의 주거안정을 도모합니다. 재계약 시 자격만 유지한다면 최장 50년까지 임대할 수 있습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(2년마다 재계약 가능, 최장 50년) 공급규모 : 전용면적 40㎡ 이하 임대조건 : 보증금+임대료(시중 시세의 30% 수준) 영구임대주택의 특징은? - 최장 50년까지 거주 가능 : 공공임대 중 임대기간이 50년으로 가장 깁니다. - 가장 저렴한 임대료 : 평균 보증금은 190만원(생계, 의료급여 수급자 기준), 평균 임.. 2023. 7. 27.
SH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임대 및 주거환경 임대주택의 입주자격 및 입주조건 그리고 신청방법 알아보기 SH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제공하는 저렴한 금액의 임대주택인 공공임대 및 주거환경 임대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공공임대 및 주거환경 임대주택이란? - SH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건설하여 2005년 이전에 공급한 것으로, 도시계획사업과 주거환경개선사업 등으로 발생한 철거세입자 등에게 특별공급하고 남은 잔여세대를 공급하는 저렴한 금액의 임대주택입니다. 임대기간 :기본계약 2년(2년마다 재계약 가능, 최장 20년) 공급규모 : 전용면적 19㎡ ~ 59㎡ (소형 평형 위주) 임대조건 : 평균임대료 / 평균임대보증금 1. 공공임대 - 전용 39㎡ 이하 : 임대보증금 9,164,996원, 월 임대료 123,286원 - 전용 49㎡ 이하 : 임대보증금 13,856,708원, 월 임대료 199,000원 - 전용 59㎡ 이.. 2023. 7. 25.
2023 SH , LH 기존주택 전세임대주택 사업 대상자 및 지원신청서 입주자 모집 공고 알아보기 2023년 SH와 LH가 전세계약 후 임대하는 기존주택 전세임대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SH, LH가 전세계약 후 임대하는 기존주택 전세임대주택이란? - 최저 주거취약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입주자로 선정된 자가 지원기준 금액 범위 내에서 입주를 원하는 주택을 물색하면 기존주택의 소유자와 서울주택도시공사,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전세계약을 체결하여 임대하는 주택을 말합니다. 임대기간 : 기본계약 2년(2년 단위로 9회까지 재계약 가능, 최장 20년) 대상주택 - 종류 : 단독ㆍ다가구ㆍ다세대ㆍ연립주택ㆍ아파트ㆍ오피스텔(바닥난방, 취사시설, 화장실을 구비한 주거용 오피스텔) 지원가능 (건축물대장상 용도가 오피스텔이어야 함) ※ 다중주택 지원 불가 - 면적 : 국민주택규모 (전용 85㎡).. 2023. 7. 22.
서울 주택도시공사 인터넷 청약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 신청자격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서울 주택도시공사에서 인터넷 청약을 통한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이란? - 전ㆍ월세 보증금을 무이자로 지원하는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 : 서울시 무주택시민의 안정적인 주거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, 전월세 세입자가 입주를 원하는 주택의 보증금 30%, 최대 6천만원을 서울시가 무이자로 지원하여, 최장 10년까지 보증금 인상 걱정을 덜고 거주할 수 있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입니다. - 지원기간 : 2년 단위 재계약으로 최대 10년간 지원가능 [10년간 총 5회(최초계약 포함)] : ※ 재계약 요건 : 입주자 신청자격 유지 - 대상주택 : 건축물관리대장상 ①단독주택(다가구주택 포함, 다중주택 제외), ②상가주택*, ③다세대주택·연립주택*, ④아파트*, .. 2023. 7. 18.
728x90
반응형